유수경씨가 쓴 불멸의 클레식 책을 읽고 나름 음악을 즐겨 들으면서도 뒤죽박죽 엉켜있던 음악연대나 흐름이 많이 정리가 되는 듯하다.
그래서 그의 글을 여기 옮기면서 그가 추천한 곡 외에 내가 꼭 추가하고자 하는 몇 곡도 추가했다.
고전파; 프랑스혁명 전후, 바로크 이후
하이든 1732-1809. 오스트리아 에스테르하지 후작 가문의 30년간 궁정음악가로 활동
104 교향곡, 15 오페라, 12 미사곡, 20 협주곡, 47 건반소나타, 68 현악4중주, 165 실내악곡 등
저자 추천곡 : 첼로협주곡1. 2번, 트렘펫협주곡, 교향곡45고별,
나의 추가 리스트 : 군대. 종달새, 시계, 놀람,기적
모짜르트 1756-1791
15오페라, 41교향곡, 38 협주곡, 26 현악 4중주 등 600곡 작곡,
저자 추천곡: 피아노협주곡21, 교향곡41, 클라리넷협주A장
베에토벤 1770~1827 고전파 완성
32 피아노소나타, 10 바이올린소나타, 5 첼로소나타, 7 피아노3중주, 16 현악4중주, 5 피아노/바이올린협주, 9 교향곡 등
저자 추천곡: 교향곡 3번 <영웅>, 5번<황제>, 6번<전원>, 9번<합창)
나의 추가 리스트 : 피아노협주곡<합창환상곡>,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피아노협주곡 5번 E플랫장조,
Ich Liebe Dich,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No.5 <봄>
낭만파: 혁명/전쟁이후 19세기 초중반
슈베르트 1797~1828 가곡의 왕
9 교향곡, 20여 관혁악, 35 실내악, 22 피아노소나타, 60여 기악곡
저자 추천곡: 교향곡8 그레이트
베를리오즈 1803~1869
저자 추천곡: 환상교향곡
멘델스존 1809~1847 괴테의 절친 손자로 명문 귀족집안 장남
5 교향곡외 120여곡
저자 추천곡: 한여름밤의 꿈, 바이올린협주곡 마단조, 교향곡4 이탈리아
프레드릭 쇼팽 1810~1849 피아노를 위한 삶을 살았던 독보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피아노를 위한 전주곡, 소나타, 연습곡, 발라드, 녹턴, 스케르초, 왈츠, 폴로네이즈, 마주르카, 즉흥곡, 론도, 환상곡 등 200여곡 작곡
저자 추천곡: 피아노협주곡 1번,
나의 추가추천곡 : 녹턴 (특히 선율이 너무도 아름다운 No.20 C#minor)
슈만 1810~1856
교향곡1번 봄, 피아노협주곡 가단조
리스트 1811~1886
교향시 (전주곡)
안톤 브루크너 1824~1896
살아서 많은 혹평을 받았던 작곡자로 말러의 스승, 기본적으로 1번 교향곡을 제외하고 연주시간이 1시간20분에서 1시간30분으로 갈고
한 박자안에 많은 음표가 있어서 연주에 까다롭다는 이유.
10개 교향곡
저자 추천곡 : 교향곡 4번<로맨틱>
나의 추천곡 :
요하네스 브람스 1833~1897, 바하, 베에토벤와 함께 클래식 "Great 3B" 중 한명
4개 교향곡, 2개 피아노협주곡, 3개 피아노소나타, 3개 바이올린소나타, 현악 4중주, 피아노3중주, 피아노4중주/5증주, 레퀴엠 등
260개의 독일 가곡
저자 추천곡 : 교향곡 1번,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op77, 교행곡 4번,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무소르그스키 1839-1881
15개의 피아노곡 작곡
저자의 추천곡 : 전람회의 그림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1840~1893 법학대학을 나와 페테스부르크 법원사무관으로 일하며 음악공부
피아노독주곡, 실내악곡, 가곡, 합창곡, 오페라, 6개 교향곡, 3개 발레음악, 로미오와 줄리엣, 1812년 서곡 등
저자 추천곡 : 피아노협주곡 1번, 로코코주제에 의한 변주곡,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op35, 교행곡 4번, 교향곡6번 <비창>
나의 추천곡 :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인형
안토니오 드보르작 1841~1904 체코
국민주의 음악의 대표주자인 러시아의 글린카, 체코의 스메타나, 드보르작, 야나체크, 노르웨이의 그리그, 핀란드의 시벨리우스, 스페인의 사라사테와 어꺠를 같이 함.
저자의 추천곡 : 교향곡 9번 <신세게로부터>, 첼로협주곡
에드워드 엘가 1857~1934 영국
바이올린과 피아노 소품 <사랑의 인사>, 관현악곡 <위풍당당 행진곡>, <수수꼐끼 변주곡>, 바이올린협주곡, 첼로협주곡 작곡
20세기 이후 음악
구스타프 말러 1860~1911
빈에서 브루크너에게 음악이론을 배우고 빈필하모닉과 뉴욕필하모닉의 상임지휘자를 역임
저자 추천곡 : 교향곡1번 <거인>, 교향곡 5번, 교향곡 6번<비극적>
클라우드 드뷔시 1862~1918
18세기 이후 파리가 예술의 중심지가 되어 가던 떄 프랑스의 알렉산더 뒤마, 위고르, 보들레르, 랭보, 마네, 모네, 르누아르, 세잔, 로댕과 동시대를 산 음악가로 미국의 판과 재즈에도 영행을 끼침
저자의 추천곡 : <목신의 오후 전주곡>, <바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1864~1949 독일
빈을 중심으로 활동한 "왈츠의 아버지" 요한 슈트라우스와 그의 아들 "왈츠의 황제" 슈트라우스 2세와 다른 독일의 대표 작곡자이자 지휘자
저자의 추천곡 : 교행시 <돈 후안>, <영웅의 생애>
얀 시벨리우스 1865~1957 핀란드
저자의 추천 : 교향곡 2번, 바이올린협주곡 D장조 op47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1873~1943 러시아 최고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190센티 키
45세에 그의 서정성과 풍부한 선율의 음악은 획일화를 추구하는 공산당과 맞지 않아 미국으로 망명
저자 추천곡 : 피아노협주곡 2번, 3번, 교향곡 2번
모리스 라벨 1875~1937 프랑스
편곡과 화성법의 대가
저자 추천곡 : 관현악곡 <볼레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1882~1971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망명
모더니즘 음악의 선구자로 <불새> <봄의 제전> <페트루시카> 등 작곡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 1891~1953 러시아
20세기 초반 러시아와 연방국가의 예술가들은 공산당의 획일적 찬양을 요구하는 정치와 예술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했다,
여기에 대표적인 예술가들이 라흐마니노프, 스트라빈스키,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에프, 호르비츠, 리히테르, 야사 하이페츠,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로스트로포비치 등이 있다.
저자의 추천: 발레음악 <로미오와 줄리엣>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1906~1975 러시아
재즈에 왈츠와 러시아적 붅위기를 잘 조함한 작곡자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자자의 추천 : 교향곡 5번
그런데 보통 사람들 조차도 클레식음악을 거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작곡가들을 이 책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람들이 있어 그들을 추가한다.
당연히 게오르크 헨델과 요한 세바스찬 바흐, 리하르트 바그너, 에드워드 그리그, 요한 슈트라우스, 쥬제프 베르디 등을 빼고 클래식을 논할 수는 없을 것이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1685~1759)
독일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활동한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이다. 헨델은 46곡의 오페라와 우수한 오라토리오를 비롯하여 오케스트라, 바이올린, 쳄발로, 오르간 분야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음악은 명쾌하고 호탕하며 신선하여 생생한 리듬에 성악적이라고 평가된다. 독실한 개신교(루터교) 신자인 헨델의 대표적인 교회음악은 《메시아(Messiah)》로서 당시 영어 번역 성경인 킹 제임스판 성경[1] 의 구절에 곡을 붙인 오라토리오이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 (1685~1750)
독일 태생의 바로크 시대 작곡가로, 위에도 서술했듯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하며,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악가 중 한명으로 평가받는다. 기나긴 서양 음악의 역사에서 음악성이나 업적, 명성 등에서 바흐에 필적할 수 있는 인물은 모차르트와 베토벤 밖에 없으며, 음악의 토대를 세운 위대한 인물이다.
베토벤은 바흐를 가리켜 "그는 Bach(실개천)가 아니라 Meer(바다)라고 불려야 한다(Nicht Bach, sondern Meer sollte er heißen).''라는 표현을 남기기도 하였다. 심지어 흔히 바로크 음악의 끝을 1750년이라 하는데, 그 이유는 이 해에 바흐가 사망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제바스티안 이전에도 17세기 초엽 이래 많은 유명한 작곡가를 배출했고, 일족의 중심지이었던 중부독일의 튀링겐 지방에서는 '바흐'가 '거리의 악사'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였을 정도였다. 그 중에서도 제바스티안의 큰할아버지 하인리히 바흐(1615-1692), 그 아들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1642-1703)와 요한 미하엘 바흐(1648-94)는 음악사(史)에도 이름을 남긴 뛰어난 작곡가들이었다.
리하르트 바그너 (1813~1882), 독일의 천재적인 작곡가
음악사의 영향력있는 위대한 음악가 중의 한 명이자 오페라 역사상 위대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곡으로는 오페라 탄호이저,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로엔그린, 트리스탄과 이졸데 그리고 명불허전 니벨룽겐의 반지 4부작이 있다
어떤 이는 매년 열리는 바그너 음악축제에 니벨룽겐의 반지 악극을 보기위해 유럽을 간다는 사람도 있단다.
쥬제프 베르디 (1818~1901),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 오페라 작곡가
베르디의 업적은 오페라를 음악극(dramma per musica)으로 승화시킨 점에서 동시대의 바그너와 비슷하지만 특별히 구별되는 것은 그는 정규과정을 밟은 작곡가가 아니라 단지 경험이 많은 작곡가였다. 그는 실제적인 그 경험을 전적으로 극장에서 얻었던 것이다
<나부코 Nabucco>(1842), <리골레토 Rigoletto〉(1851)·〈일 트로바토레 Il trovatore〉(1853)·〈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1853)·〈운명의 힘 La forza del destino〉(1862)·〈돈 카를로스 Don Carlos〉(1867)·〈아이다 Aida〉(1871)·〈오텔로 Otello〉(1887)·〈팔스타프 Falstaff〉(1893)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에드워드 그리그 , 1843~1907 노르웨이의 작곡가이자 피아노 연주자
노르웨이의 민속 전통에 뿌리를 둔 그리그의 음악은 섬세한 서정 감각으로 유명하다.
내가 추천하는 대표곡으로는 페르퀸트모음곡, 솔베이지의 노래, 피아노협주곡 A단조
'음악이야기 > 추천 음반과 추천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e Maria sung by 조수미 노래 모음 (0) | 2022.12.25 |
---|---|
초절기교의 고음과 두성의 성악 비교 (1) | 2022.12.02 |
Eagles의 "Hotel California" (0) | 2022.10.21 |
Rock의 고전 "Epitaph" (0) | 2022.10.21 |
Tom Johns의 "I Know"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