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연, 음악, 여행의 조화를 찾아

취미, 건강, 세상 이야기/세상속 이슈

트럼프 미대통령의 세계 판도 흔들기

SaintShin 2025. 2. 3. 16:00

1.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 관세부과 행정명령 서명,
    2025.01.0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산 수입품에 25% 관세,  중국엔 10% 추가 관세 부가

    => 2월 캐나다, 멕시코 총리들과 각각 전화통화 및 국경수비강화약속 받아내고 관세부가 한달 유예
2. 트럼프, 트렌스젠더 女경기 출전 금지, 행정명령서명
 
3. 영토확장 야욕:  캐나다, 파나마운하, 그린랜드, 가자지구까지 손뻗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2일(현지시각) 기자회견을 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부과한 25%의 관세에 대해 캐나다도 1550억 캐나다 달러(155조5480억원) 미국산 상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중 300억 캐나다 달러(약 30조1천억원)는 미국의 관세 발효일인 4일(현지시각) 동시에 발효되며, 나머지 1250억 캐나다 달러(약 125조4425억원)에 대한 관세도 21일 이내에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멕시코도 대미국 보복관세 등을 준비 중이다.
 

캐나다와 멕시코의 보복관세 조처가 시작되면, 북미 자동차 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적인 미국 완성차 회사들을 위한 원자재·부품 공급처와 노동력 제공 등 공장 역할을 해 온 양국에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 자동차 기업들에도 그 관세가 부메랑처럼 돌아올 수 있다는 의미다. 3개국 모두 자동차 주요 소재와 부품의 역내 수입 비중이 전체 수입량의 40~70%를 차지할 만큼 서로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미국에서 캐나다로 수출하는 품목 중에는 승용차와 화물차, 자동차 부품 등 자동차 산업 관련이 약 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트뤼도 총리는 이날 미국 시민들을 향해 “캐나다에 부과한 관세는 당신들의 일자리를 없앨 수 있다. 미국 자동차 조립 공장과 다른 제조 시설들을 없앨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이 캐나다산 원유에 부과한 10%의 관세로 미국 소비자들이 오히려 고통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미국이 수입하는 원유 중 캐나다산 비율은 2023년 기준 60%에 달한다. 캐나다의 원유를 사서 정제 작업을 하는 미국 정유업체들은 원가 상승 부담이 커졌다. 뉴욕타임스는 미국 정유업체가 몰려있는 중서부 지역의 휘발유 가격이 갤런당 15~20센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이 멕시코로 수출하는 제품군은 정유(10.5%), 석유·가스(5.7%), 집적회로(3.6%), 사무용기기(3.6%) 순서로 정유 업체들은 원가 상승과 수출 제한 우려를 동시에 받게 됐다.
 
2일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누리집에 공개한 담화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합성 마약인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 등을 구실로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리자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위반해 소송을 제기하겠다면서 “상응하는 반격 조처를 해 국가 권익을 수호하겠다”고 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일 연설에서 캐나다 국민의 애국심에 호소했다. 모든 캐나다인이 무역 전쟁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며 미국산 제품 대신 캐나다산을 구매할 것을 촉구한 것. 그는 “주류는 켄터키 버번 대신 캐나다 라이를 사고, 플로리다 오렌지 주스는 당분간 먹지 말자. 여름 휴가도 국내로 떠나자”고 말했다. 유력 차기 총리 주자인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전 재무장관도 “트럼프와 억만장자 친구들에 맞서는 가장 좋은 방법은 캐나다산을 구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에 곧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유럽과의 무역에서 3000억 달러(약 428조원) 이상 적자를 보고 있다”며 “EU는 미국산 차, 농산물 등 아무것도 사지 않지만 우리는 그들로부터 수백만대의 자동차와 엄청난 양의 농산물을 사들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즈, 블러보그 등 미국 언론 매체들이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 등과 벌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전쟁’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특히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아무런 이유도 없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전쟁”이라며 “이웃 국가들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공격은 아무런 논리가 없다. 마약 단속은 핑계이며 관세 부과 자체가 목적”이라고 지적했다.

한국 산업계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삼성전자와 LG전자, 기아가 멕시코에서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LG에너지솔루션과 포스코퓨처엠 등 배터리 업계도 캐나다에 생산시설을 마련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중장기적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멕시코 티후아나 공장(TV), 케레타로 공장(냉장고·세탁기 등)에 생산 기지를 뒀다. LG전자는 몬테레이에서 냉장고, 오븐 등 가전을 생산하고 레이노사에서 TV, 라모스에서 전장 부품 등을 생산한다.

------

그러나 3일 트럼프는 캐나다, 메시코 총리들과 잔화통화를 통해 국경통제 강화를 약속받고 관세보복을 한 달씩 유예하기로 헸다


---------

"남성이 여성 선수 때리면 안돼" 트럼프,
트렌스젠더 女경기 출전 금지 '행정명령 서명'... 2028 LA 올림픽 참가 불허

세상 이치에 따를려는 행동도 있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트랜스젠더 수영선수 리아 토마스가 지난 2022년 1월 22일 하버드와의 NCAA 대학 수영대회에서 500미터 자유형에서 우승한 후의 모습. [AP]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사람이 여성 스포츠 경기에 출전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시했다.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을 전환할 경우 남성의 체력적 조건을 갖고 있음에도 여성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은 불평등하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다

알제리의 이마네 칼리프가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복싱에서 금메달을 따낸 뒤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복싱에 출전한 대만의 린위팅. /AFPBBNews=뉴스1

지난해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복싱에서는 남성을 의미하는 XY 염색체를 갖고 있는 이마네 칼리프(26·알제리)와 린위팅(29·대만)이 각각 66㎏급과 57㎏급에서 금메달을 따내 뜨거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염색체만으로 성별을 결정할 수 없다며 이들의 올림픽 출전을 허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생물학적 여성'이라는 용어 사용 중단을 촉구한 미국의 전 수영선수 라일리 게인스의 이름을 언급하며 격려의 뜻을 전했다. 또 배구 경기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은 선수가 날린 시속 70마일(약 112km)의 스파이크에 얼굴을 맞아 뇌진탕과 뇌손상, 오른쪽 신체 부위 마비 등의 부상을 입은 페이튼 맥냅의 사례를 거론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행정명령 서명으로 공립 초중고교와 거의 모든 미국 대학에서 여성 운동 선수에 대한 남성의 공격이 사실상 종식될 것"이라며 "여성 스포츠는 여성만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연방 정부가 성별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만 정의하고 성별은 변경할 수 없다고 명시한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

트럼프, 캐나다·덴마크·파나마·이스라엘 가자지구까지 영토 확장 야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캐나다, 파나마 운하, 덴마크령 그린란드 병합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가자지구도 미국이 관리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당선 후 2번째 기자회견에서 파나마 운하나 그린란드 통제권 확보 위해 ‘군사적 또는 경제적 강압 옵션을 배제하느냐’는 질문에 “두 사안 어떤 것에 대해서도 확언할 수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는 미국의 국가안보와 경제안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면서 “나는 그것(군사 또는 경제 옵션 배제)을 약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케나다의 미국 편입 가능성 거론에 대해서는 군사력이 아닌 “경제적 강압”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미국이 가자지구를 인수(take over)할 것"이며 팔레스타인인이 가자지구를 떠나 제3국으로 이주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발언에 세계 각국은 즉각 반발했다.

당장 이슬람권을 주도하는 사우디아라비아는 5일 외교부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의 (유대인) 재정착, 영토 합병, 팔레스타인인 퇴거를 통한 팔레스타인인 권리 침해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 주민들을 수용할 국가로 전부터 지목했던 이집트 외교부는 "가자지구의 재건은 팔레스타인 주민이 가자지구를 떠나지 않는 상태로 이뤄져야 한다"고 반대 의사를 명확히 했다.
이에 아랍권 22개국으로 구성된 아랍연맹(AL)도 미국이 가자지구를 점령해 팔레스타인 주민을 이주시키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이 "충격적"이라며 "국제법을 위반해 더 큰 불안정을 야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파나마, 일대일로 탈퇴 이어
미 블랙록, 홍콩 운영 두 항구 인수
당정, 항구 판 리카싱에 “배신자” 비난
다국적기업 거래 막기는 쉽지 않아

홍콩 CK 허치슨 홀딩스 자회사가 운영하는 파나마 운하 발보아항.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 컨소시엄이 이 항구를 인수한다. /AP 연합뉴스

홍콩 CK 허치슨 홀딩스가 운영해온 파나마 운하 양쪽 입구 발보아항과 크리스토발항의 운영권이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 컨소시엄에 넘어갑니다. 허치슨 홀딩스는 지난 3월4일 “파나마 운하 입구 두 항구와 본사가 전 세계 23개국에서 운영해온 43개 항구를 228억 달러에 블랙록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홍콩 증시에 공시했어요. 허치슨 홀딩스는 홍콩 부호 리카싱이 이끄는 청쿵그룹의 지주회사로 항만과 통신, 인프라, 유통 등 4개 분야에 걸쳐 글로벌 사업을 운영합니다.

허치슨 홀딩스는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 24개국에서 53개 항구를 운영하고 있어요. 이중 중국과 홍콩에 있는 10개 항구를 제외한 23개국 43개 항구를 이번에 매각합니다. 또 파나마 운하의 두 항구를 운영하는 ‘파나마 포트 컴퍼니(PPC)’ 지분 90%도 넘기기로 했어요.

블랙록 컨소시엄에는 블랙록 외에 미국 인프라 사모펀드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GIP)’, 세계 1위 컨테이너 선사인 스위스 MSC의 항만 운영 자회사 터미널인베스트먼트(TIL) 등이 참여했습니다. 전체 매각 금액 228억 달러 중 부채를 제외한 190억 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한다
 
파나마 운하 양쪽 입구의 두 항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부터 논란이 됐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운하를 운영하고 있다”면서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운하를 되찾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지난 1월 취임하자마자 파나마 정부를 외교적으로 압박해 중국과 맺은 일대일로 협정에서 탈퇴하도록 했고, 이번에는 두 항구의 운영권을 넘겨받는 계약까지 체결했어요. 취임한 지 두 달도 안 돼 속전속결로 이 문제를 정리한 겁니다.

2017년 수교 이후 8년간 파나마에 공을 들여온 중국은 허를 찔린 듯 당혹해하는 모습이에요. 그렇다고 미국을 직접 공격하지는 못하고 항구 운영권을 매각한 리카싱을 “조국과 민족을 저버린 매국노”라며 거세게 공격했습니다. 공산당과 국무원(정부) 홍콩·마카오 판공실, 홍콩 친중 매체 대공보 등이 나서서 매각 계약 취소도 압박했어요. 하지만 그룹 매출의 88%를 미주와 유럽 등지에서 거두는 청쿵그룹을 압박할 실질적인 수단은 마땅치 않은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