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그대로 우연한 기회가 생겨 가족 동반으로 금년 휴가 여행을 블라디보스톡으로 선택했다.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의미를 갖는 블라디보스톡은 동해 연안의 최대 항구도시 겸 군항이다. 또한, 시베리아 철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1856년 러시아인이 발견하였으며, 1890년대부터는 무역항으로서 크게 발전하였다. 1903년 시베리아 철도가 완전히 개통됨으로써 모스크바와도 이어지게 되었다.
블라디보스톡은 러시아 극동지방의 중심지로 한국 중국 일본과 가까이 위치하여 일찍이 무역, 외교, 상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고 러시아의 과거와 미래, 자유와 속박의 역사가 숨쉬는 곳이다. 비록 블라디보스톡에서의 일정이 1박 2일로 다소 짧게 느껴질 수 있으나, 구한말 한인들의 생활터전인 신한촌 및 기념비와 안중근 동상, 시베리아 횡단열차의 시발착역인 블라디보스톡역, 중앙광장, 해양공원을 관람하고 러시아 재래시장과 수산시장을 방문하는 등 알찬 일정이다.



출항하던 날 이 배의 선장이 크루즈여행객들을 상대로 항해조정실을 개방하고 각 기계 및 조정법을 설명을 하는
친절함을 보여 주었다.

갑판 중앙에 있는 아래로 내려가는 계단은 2층 선실 및 나이트클럽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크루즈여행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주류와 라면 등을 팔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도 3대 정도 있다.



블라디보스톡 여행 첫째 날을 마무리하며 석식을 위해 러시아 전통 음식점을 찾았다.
스프는 김치찌게와 같은 형태이나 김치대신 양파 듬뿍 담겨 있다.

우리가 먹은 블라디보스톡 전통음식 <샤실릭>
러시아식 돼지고기 꼬치구이라는데, 우크라이나 지방의의 전통식이 널리 퍼진것이라고 한다.

블라디보스톡의 붉은 광장. 블라디보스톡의 번화가와 접한 이 곳은 모든 행사의 중심이 되는 곳이란다.
높이 위치한 동상은 혁명전사를 기린 동상이란다.
도시 어디를 봐도 그늘이 없어서 35도나 되는 뙤약볕 아래에서 혀를 둘를 수 밖에 없었다.








예쁜 인형들이 놓여 있는 블라디보스톡 기차역 건너편 노상






워낙 아이가 사진찍는 걸 싫어해서 카메라만 갖다대면 얼굴이 영 말이 아니다.


이민족의 정착 및 번성을 견제하기 위한 고려/조선인들의 눈물어린 이주 역사를 가이드로부터 들을 수 있었다.
국민은 국가가 힘이 있어야 된다는 걸 다시 한 번 깨달았다.



어제는 35~40도 까지 오르내리는 날씨였으나 오늘은 잔뜩 날씨가 흐려있다.



